주식 차트 보는 법

'국내 증권사 HTS' Vs '해외 주식 플랫폼' 주가 차트 차이점 비교

ThalesPEF 2025. 4. 23.

국내 증권사 HTS의 미국 주식 차트가 트레이딩뷰(TradingView)나 위불(Webull) 등 외국계 차트 플랫폼과 다르게 표시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는 국내 증권사의 실시간시세 부가서비스와는 무관하며, 주로 미국 주식 데이터를 거래소로부터 취합하고 제공하는 과정에서 플랫폼 간 표시 방식의 차이나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대부분의 종목은 국내 증권사와 미국 주식 거래 플랫폼 간 차트 표시가 동일하지만, 일부 종목에서는 생각지 못한 큰 차이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런 차이는 사소해 보일 수 있으나, 기술적 분석을 통해 최적의 매수 시점이나 리스크가 적은 진입 시점(Low Risk Entry Point)을 찾는 추세추종 투자자에게는 중요한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국내 증권사의 HTS만 너무 맹신하지 말고 본문에 언급한 주요 해외 주식 거래 플랫폼도 함께 사용해 크로스 체크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좋습니다.

 

 

 

미국 주식 정보, 증권사 또는 주식 플랫폼에 따라 조금씩 다른 이유

증권사 또는 주식 거래 플랫폼에 따라서 주가 차트 및 거래량 데이터 표시가 차이가 나는 것에는 여러 가지 복합적인 원인이 작용을 하는데요. 가장 주된 이유는 미국은 워낙 대체 거래소가 많다 보니 증권사 또는 주식 플랫폼 별로 데이터 소스를 받아오는 거래소가 다르거나 또는 여러 곳의 거래소로 받아온 정보를 취합해 제공하는 과정에서 이런저런 미묘한 차이가 발생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 밖에도 제공된 정보를 업데이트 하는 과정에서 일부 시차가 발생하기도 하고 또 제공받은 소스 데이터를 필터링하는 과정이나 방법에서도 이런저런 미묘한 가격 정보 차이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가장 흔하게는 장 마감 후 개별 종목의 거래량을 국내 증권사 및 여러 해외 주식 플랫폼과 상호 비교해 보면 그 차이를 좀 더 명확히 알 수 있는데요. 특히 국내 증권사의 경우 무료 제공하는 실시간 데이터를 매매에 이용하는 경우 당일 거래량의 50% 정도만 거래량 정보로 보여지기 때문에 자칫 일 평균 거래량 부족 종목으로 오판해 무시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따라서 국내 증권사의 무료 실시간 주식 정보를 이용하시는 분들은, 해외 주식 거래 플랫폼인 인베스트닷컴이나 위불(Webull), 트레이딩뷰 플랫폼을 함께 활용하여 실시간 주가 데이터와 차트를 비교하면서 매매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유료 시세 정보를 활용하는 분들도 해외 주식 플랫폼은 자주 방문하면서 주가 차트 및 가격 정보는 크로스 체크를 빈번하게 하니 기본적으로 자주 체크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좋습니다.

 

참고로, 미국은 약 60개 이상의 대체거래소가 운영되고 있는데요. 정규 거래소인 뉴욕증권거래소(NYSE)와 나스닥(NASDAQ)과 경쟁하는 대체거래소가 이처럼 많다 보니, 주요 증권사와 주식 플랫폼이 어느 거래소의 데이터를 받아오느냐에 따라 주가 데이터에 일정 부분 차이가 발생할 수밖에 없습니다.

 

물론 대부분의 국내 증권사와 유명 해외 주식 거래 플랫폼의 경우 받아오는 주식 데이터는 대부분 시장 점유율이 높은 상위 거래소를 중심으로 데이터를 받아오기 때문에 큰 걱정은 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증권사별 또는 주식 거래 플랫폼에 따라 주가 정보를 보여지는 측면에서 미묘한 차이가 발생하는 이유는 또 여러 가지 이유와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합니다.

 

* 핵심은 국내 증권사와 해외 주식 거래 플랫폼의 데이터가 서로 다른 이유는 크게 두 가지로 볼 수 있는데요. 첫째, 주가 데이터를 제공받는 거래소가 서로 다를 수 있고, 둘째, 제공받은 데이터를 취합하고 가공하는 과정에서 미묘한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정도로 이해하시면 충분할 것 같습니다.

 

 

 

 

국내 증권사 HTS Vs 해외 주식 플랫폼간 주가 차트 비교해 보기

 

이제 주가 차트에서 어떤 문제점과 차이점이 있는지 최근 제 경험을 바탕으로 간단히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참고로 국내 증권사의 모든 개별 종목 주가 차트가 잘못되었거나 문제가 있다는 뜻은 아닙니다.

 

단지 일부 미국 종목의 경우, 국내 증권사의 주가 차트와 해외 차트 플랫폼 사이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점을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본문에서 비교할 종목의 주가 차트는 텐센트 뮤직 엔터테인먼트(Tencent Music Entertainment Group, TME)입니다. TME는 미국에 상장된 중국 기업의 주식(ADR)입니다. 이제 이 종목을 통해 국내 증권사 HTS와 외국계 차트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일간 주가 차트의 차이점을 비교해 보겠습니다.

 

참고로, 비교 주가 차트는 일반 레귤러 차트인 아리스메틱(Arithmetic), 즉 선형 차트라고 불리는 리니어 스케일을 사용했습니다. 로그(Log) 차트와 큰 차이는 없지만, 레귤러 차트가 주가의 실제 일간 변동성을 더 명확하게 보여주어 단기 상승 추세 구간을 파악하기 좋습니다. 따라서 주가 차트를 볼 때 로그와 레귤러 차트로 서로 번갈아 가면서 분석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더 좋습니다.

 

 

 

1. 키움증권으로 본 TME 주가 차트 화면 비교

키움증권에서 본 Tencent Music Entertainment (TME) 주가 차트 모습

 

위 차트는 키움증권의 영웅문 GLOBAL에서 보여주는 TME 일간 캔들 차트입니다. 우측 상단에 표시한 동그라미 점선 부분을 주목해 보시기 바랍니다. 국내 증권사 HTS에서 보여지는 주가 차트 모습과 해외 주식 거래 플랫폼 간의 주가 차트 화면의 차이가 결과적으로 주식 매매 시점에도 꽤나 큰 영향을 미칠 수 있기에 나름 조금 유의해 보시라 말하는 것입니다.

 

위 차트의 마지막 캔들(2025년 4월 3일)을 보면, TME는 전일 종가 대비 $14.11(-2.49%) 갭다운으로 시작하여 당일 최저가 $14.03(-3%)까지 하락했다가, 장 마감에는 $14.35에서 소폭 상승 마감했습니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키움증권 HTS의 주가 차트에서 전날 캔들의 저점을 일시적으로 하회했으며, 이는 7 거래일 전(3/25) 캔들의 저점 수준까지 하락한 것으로 표시되고 있다는 것입니다.

 

주가 차트를 보면 당일 장 마감 캔들이 10일 이동평균선 아래에서 간신히 마감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차트 흐름에서는, 다음 날 주가가 10일 이동평균선 위로 올라선다 하더라도 즉시 매수에 나서기보다는 10일 이평선 지지를 한 번 더 확인한 후 매수하는 것이 더 안전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주가가 다시 20일 이평선 까지도 하락 조정을 거친 뒤 다시 본격적인 상승을 시작할 때 매수를 하겠다는 생각으로 좀 더 여지를 두고 관망하듯 지켜 볼 수도 있습니다. 그러니까 키움 증권사에서 제공하는 주가 차트로는 당장 매수 하기는 조금 애매한 시점으로 보인다 할 수 있습니다.

 

그럼 이번에는 NH나무증권에서 제공하는HTS에서 TME 주가 차트를 한번 보도록 하겠습니다.

 

 

 

2. NH나무증권으로 본 TME 주가 차트 화면 비교

NH나무증권에서 본 Tencent Music Entertainment (TME) 주가 차트 모습


위가 NH 나무증권에서 제공하는 HTS로 본 TME 주가 차트입니다. 어떤가요? 키움증권과 같은 주가 차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아마 대부분의 국내 증권사가 비슷할 것 같아서 굳이 다른 국내 증권사는 추가로 가져오지 않았는데요.

 

참고로 위 NH 나무증권 차트는 로그 차트로 본 모습입니다. 일반 레귤러 차트와 큰 차이가 없지만, 변동성이 큰 중소형주의 경우는 차이가 좀 크게 난 상태로 보일 수 있으므로, 전반적인 중장기 추세를 보는 관점에선 레귤러 주가 차트가 좀 더 추세를 판단하기 용이한 측면이 있습니다.

 

[주식 시장 분석 법] - 어닝 서프라이즈 주가 상승 종목 미리 확인하는 방법 (트레이딩뷰 활용법)

 

어닝 서프라이즈 주가 상승 종목 미리 확인하는 방법 (트레이딩뷰 활용법)

미국은 분기별 실적 발표가 예정된 달에는 기업의 실적 발표에 따라 주가가 아주 크게 급등락 하는 등 종목에 따른 희비가 엇갈리는 장세가 한 달여간 지속됩니다. 개별 기업의 주가 상승은 무

thalespef.tistory.com

 

 

 

 

3. WEBULL 주식 거래 플랫폼에서 본 TME 주가 차트 화면 비교

위불에서 본 Tencent Music Entertainment (TME) 주가 차트 모습

 

이번에는 미국 주식 거래 플랫폼인 위불(Webull)에서 본 TME 주가 차트입니다. 국내 증권사 HTS에서 제공하던 주가 차트와는 사뭇 다른 모습으로 당일 주가가 마감했다는 걸 쉽게 알 수 있습니다.

 

키움 증권과 마찬가지로 당일 시초가는 $14.11(O)에 형성된 상태에서 마찬가지로 당일 최저가는 $14.03(L)이고, 마감은 $14.32(C) 한 것으로 나타납니다. 키움은 종가가 $14.35로 기록되어 있는 것 빼고는 큰 차이가 없습니다.

 

그렇다고 주가 레귤러 또는 로그 차트로 보면 주가 차트가 달라지는가 하면 당연히 그렇진 않습니다. 그러니까 같은 종목의 주가 차트를 화면에 뿌려 주더라도 플랫폼에 따라서 미묘한 차이점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고, 실제로 국내 증권사 HTS의 경우 개별 종목을 둘러보다 보면 특히 분봉 단위에선 주가의 급등과 급락이 사실 보기 좀 불편한 경우가 많습니다.

 

필자가 국내 증권사와 해외 주식 거래 플랫폼의 미묘한 주가 차트 표시 방법에 주목하는 이유는 위 TME 주가 차트 처럼 주가를 만들며 조정을 하는 경우, 최근 자리는 인사이드 데이 아웃(Inside Day Out Chart Pattern) 매매기법을 적용한 매매를 하기 좋은 차트로 보이는 까닭입니다.

 

그럼 이번엔 마지막으로 같은 TME 주가 차트를 필자가 애정하는 트레이딩뷰(TradingView)에서 한번 보도록 하겠습니다.

 

 

4. TradingView 플렛폼에서 본 TME 주가 차트 화면 비교

트레이딩뷰에서 본 Tencent Music Entertainment (TME) 주가 차트 모습


다른 주가 차트 대비 조금 큰 모습이긴 하지만, 확대해 보면 국내 증권사에서 제공하는 주가 차트 화면과 어떤 차이가 있는지 금방 확인할 수 있을 겁니다.

 

필자의 경우 미국 주식 스크리닝은 언제나 트레이딩뷰를 기준으로 하는 편입니다. 트레이딩뷰를 즐겨 사용하는 이유는 무척 다양한 보조지표를 아주 손쉽게 넣거나 혹은 덜거나 하는 방식의 위지윅 한 사용 편의성 때문입니다. 특히 국내에는 이름조차 생소한 그런 다양한 기술적 지표를 비롯해 파인스크립트를 이용해 이런저런 나만의 기술적 지표를 만들어 백테스팅에도 활용하는 등 여러 가지 참 장점이 많은 곳입니다.

 

본문 내용을 한 문장으로 요약한다면, 미국 주식 시장에 투자하는 국내 개인 투자자라면 증권사 HTS 화면에서 제공하는 개별 종목 차트를 너무 신뢰하지 말고 이런저런 해외 주식 플랫폼을 활용해 주식 차트를 크로스 체크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좋다는 걸 설명하기 위해 조금 길게 설명해 보았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