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레이딩뷰 실시간 시세, 지연 시세 구분하는 간단한 방법
본문 글을 시작하기 전에 먼저 이 글은 트레이딩뷰에서 제공하는 시세는 실시간 주가 시세를 무료로 얻거나 하는 방법에 관해 설명한 글이 아닙니다.
기본적으로 트레이딩뷰는 무료 가입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실시간 미국 주식 시세는 Cboe BZX(사키고옵션거래소)에서 받아와 제공한다고 공식적으로 밝히고 있습니다. Cboe BZX 거래소는 미국의 대체거래소 중 하나로 미국 전체 주식 거래량의 약 25% 수준의 거래량이 이 거래소에서 이뤄진다고 합니다.
→ 트레이딩뷰 실시간 마켓 데이터 관련 헬프센터 공식 답변 페이지 바로가기
그러니까 국내 증권사에서 무료 실시간 미국 주식 시세 제공하는 것과 비슷한 수준의 실시간 마켓 데이터를 트레이딩뷰도 제공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불과 몇년전만 해도 Cboe BZX는 미국 전체 주식 시장 거래량의 약 10% 수준이었는데, 아무튼 거래량이 많이 늘긴 한 것 같습니다.
트레이딩뷰에서 제공하는 실시간 시세는 무료 사용자든 또는 유료 사용자든 간에 기본은 Cboe BZX 거래소에서 받아온 마켓 데이터를 보게 되는 것입니다. 다시말해, 트레이딩뷰 유료 사용자라 하더라도 주요 3개 거래소에서 제공하는 실시간 시세를 별도로 구독 신청하지 않는 이상 무료든 유료 사용자든 같은 주식 시세 데이터를 받아 보게 된다는 것입니다.
미국 주식 실시간 시세 거래소별 유료 구독 방법
위 스샷을 보면 좀 복잡해 보일 수도 있는데요. 핵심은 보다 정확한 미국 주식 실시간 시세 데이터를 트레이딩뷰에서 받아 보고 싶다면 플랜 A 또는 플랜 B 중 하나를 선택하면 됩니다. 플랜 구분은 필자가 임의로 붙여 본 것입니다.
맨 상단 플랜 A (US Stock Markets bundle)는 번들 상품으로 대부분의 주요 거래소가 다 포함된 상품입니다. 5개 거래소를 하나로 묶은 번들 상품으로 주요 3개 거래소 (나스닥, 뉴욕, 아카)를 포함해 ETF 등 주요 주가 지수 실시간 시세를 제공하는 Nasdaq Global Index Data Serve(좀 복잡해 보여서 일부러 밑줄을 그은 것입니다.), 장외거래소인 OTC 마켓 까지포함한 실시간 시세 정보를 제공합니다.
월 10달러 수준으로 구독 가능하므로 번들 상품을 선택하는 것도 좋습니다. 참고로 장외거래소인 OTC 마켓 데이터는 사실 굳이 실시간으로 받아 볼 필요는 없긴 한데, 포함되어 있는지라, 아마도 이게 신청 과정에서 개별 취소가 가능한지는 모르겠습니다. 필자도 현제 번들 서비스를 월구독 형태로 받고 있습니다.
주요 3대 거래소가 다 포함되어 있고, Nasdaq Global index Data Service (ETF 같은 마켓인덱시 실시간 시세 정보 제공)까지 받아 보기 위해서 그렇게 했고, 다만 OTC 마켓 실시간 시세 데이터는 트레이딩뷰 실시간 조건검색시 오히려 창을 어지렵히거나 복잡하게 만드는 경향이 있어서 신청시 옵션을 빼면 좋긴 한데, 아마 안되었던 것 같기도 한데, 아무튼 신규 가입 신청 하시는 분들이 해 보고 댓글로 알려 주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아무튼 번들(US Stock Markets bundle) 상품의 최대 장점은 한번에 통합해서 실시간 주식 시세를 받아 보는 것이므로 번거롭다 하시는 분들은 번들 상품을 선택하는 것이 더 좋습니다.
그 반면 굳이 잡다한 것이 싫다 하시는 분들은 플랜B를 선택하면 됩니다. 이는 주요 3개 거래소인 나스닥, 뉴욕, 아카(Arca) 이렇게 3개 거래소만 선택적으로 월간 또는 연간 구독하면 됩니다.
미국 주식 시장의 3대 거래소에 해당하기 때문에 사실상 이 3곳만 선택해도 Cboe BZX 는 트레이딩뷰에서 무료 제공하므로 대체로 이렇게만 가입 해도 98% 이상의 실시간 주식 시세 데이터는 커버가 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미국 주식 시장의 경우 주요 3대 거래소인 나스닥(Nasdaq), 뉴욕(NYSE), 아카(ARCA)는 각각 독립된 운영 방식과 체계를 갖기 때문에 실시간 주식 시세 데이터를 제공 받기 위해서도 원칙적으로는 위 3대 거래소를 각각 별도 신청 하도록 운영되고 있는 것입니다. 아무튼 혹시라도 번들 상품이 사라지거나 하는 경우는 3개 거래소 중심으로만 선택적으로 가입해도 된다는 걸 이해하면 될 것 같습니다.
물론 본인이 미국 주식 시장을 그렇게 왕성하게 매매를 하지 않는다거나 한다면 트레이딩뷰에서 기본으로 제공하는, 다소 불충분한 실시간 시세 정보라 하더라도 Cboe BZX에서 제공하는 데이터를 참고 및 활용한 상태에서 투자를 해도 되긴합니다만, 이건 또 각자의 선택에 해당 하는지라....
특히, 트레이딩뷰 실시간 미국 주식 시세 신청은 무료 가입자들에겐 해당되지 않고 유료 플랜 가입자만 신청할 수 있습니다. 트레이딩뷰 무료 사용자라면 본문에서 언급 했듯이 Cboe BZX 거래소에서 제공하는 반에 반쪽짜리 실시간 주식 시세 데이터를 그냥 이용하면 됩니다.
미국 주식 시장에 투자하기 위해 트레이딩뷰 유료 플랜을 사용중인 분들은 보다 전문적 활용을 위해 비용을 지불한 상태니, 당연히 적어도 위 3대 거래소는 최소한 유료 구독은 해야겠지요. 트레이딩뷰를 무료로 사용해 오던 분들이라면 아래 리퍼럴 링크를 통해 가입하는 경우 첫 유료 구독 시작시 $15 달러가 적립되는 캐시를 리워드로 추가로 제공됩니다.
→ 트레이딩뷰(TradingView) 신규 회원가입 바로가기
기존 무료 사용자가 일정 기간 무료로 활용 하다가 유료 플랜으로 넘어가는 경우는 이런 혜택이 없을 수 있습니다. 신규 가입자 유치를 위한 마케팅의 일환이다 보니 상시적으로 진행하는 이벤트인 만큼 만약 트레이딩뷰 유료 플랜을 본격적으로 사용해 볼 계획이라면 신규 계정을 따로 하나 더 만들어 사용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트레이딩 뷰 사용법 - 메인 차트 화면 설명 ② [Tradingview 사용법]
이번 포스팅은 트레이딩 뷰 메인 차트 화면 구성 요소 및 기능 그리고 나에게 맞는 차트 화면 설정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참고로, 글 말미에는 미국 주식이나 가상화폐 투자하는
moneyway.tistory.com
미국 주식 투자, 트레이딩뷰 사용 및 활용법에 익숙해지면 좋은 이유
일부 주린이분들 중에는 국내 증권사 HTS에 너무 익숙한 나머지 트레이딩뷰 주가 차트가 보기 영 불편하다고 하소연하는 분들이 제법 많더군요. 사실은 그 반대인데 말입니다. 국내 증권사 HTS에서 제공하는 주가 차트는 거의 1990년대 이후로 화면구성 자체에 변화가 없을 만큼 큰 발전 없는 상태로 서비스를 지속하고 있기 때문에 사실은 훨씬 더 사용하기 불편한 구조를 하고 있습니다.
물론 트레이딩뷰는 주린이 분들이 익숙해지기 까지는 약간의 진입장벽이 존재하는데요. 아무래도 워낙 많은 부가기능을 제공하다 보니 보기만 해도 뭔가 무척 복잡해 보여서 선듯 사용하기 어렵단 분들도 많긴합니다.
이런 복잡함이 신규 투자자에겐 적응에 어느정도 시간이 필요하다는 측면에서 일부 단점이 될 순 있겠지만, 필자 처럼 오랜기간 주식 투자를 해온 투자자 입장에선 국내 증권사 HTS에선 볼 수조차 없는 각종 고급 보조지표를 비롯해 이런저런 부가기능을 손쉽게 뗐다부쳤다 하는 식으로 나만의 주가 차트 환경을 구성해 투자에 활용할 수 있다는 것 만으로도 사실은 본전을 뽑고도 남음이 있습니다.
그 밖에도 미국 주식에 투자하는 경우 한가지 꼭 기억해야 할 사실중 하나는 국내 증권사 HTS에서 제공하는 미국 주식의 주가 차트는 일부 차트가 잘못 표기되거나 액변병합이나 분할에 따른 수정 주가가 곧바로 적용되지 않고 시간차가 생기는 경우가 더러 있습니다.
이와 관련해서는 지난 포스팅 글 <국내 증권사 HTS' Vs '해외 주식 플랫폼' 주가 차트 차이점 비교>를 읽으시면 주가 차트 표시 방식에서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실적 발표 시즌】 어닝 서프라이즈, 에피소딕 피봇 매매 결과(1)
【실적 발표 시즌】 어닝 서프라이즈, 에피소딕 피봇 매매 결과(1)
미국 주식 시장은 국장과 달리 매 분기별 돌아오는 실적 발표 시즌에는 기업의 실적에 따라 주가의 희비가 많이 엇갈리는 때가 됩니다. 시장 전반이 좋을 때는 하루만에 주가가 20~50% 이상 상승
thalespef.tistory.com
트레이딩뷰 주가 차트 화면 실시간 시세, 지연 시세 간단 구분 방법
트레이딩뷰는 기본적으로 미국 주식과 가상화폐 시세 정보는 실시간 시세를 제공하고 있습니다만, 일부 개별 종목 및 인덱스 차트는 지연 시세를 제공되기 때문에 차트를 볼 때 잘 살펴봐야 낭패를 당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미국 이외에 다른 국가의 주식 거래소 상장 개별 종목의 경우 기본적으로 지연 시세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시간 지연은 개별 국가에 따라 5분 또는 15분 등 국가별로 조금씩 다를 수 있습니다.
한국 주식 시장(KRX)에 상장된 개별 종목 시세 정보의 경우 기본적으로 약 15분 정도 딜레이 된 지연 시세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국장만 거래를 하는 분들은 굳이 트레이딩뷰에서 실시간 시세 정보를 받아보지 않아도 되지만, 필자처럼 하나의 플랫폼에서 국내외 종목을 통합관리 하는 측면에서 구매를 하거나 하면 국장 개별 종목 시세도 트레딩뷰에서 실시간으로 받아 볼 수 있습니다.
참고로, 실시간 시세 정보를 굳이 받아 보는 이유는 관심종목이 목표가 도달 시 알림 설정이 HTS 보다 훨씬 더 자유롭기 때문입니다.
아무튼, 트레이딩뷰에서 내가 보고 있는 개별 종목 시세 정보가 실시간 반영된 데이터 값인지 아닌지를 주가 차트 화면에서 확인하는 방법은 주가 차트 맨 상단(A)를 보면 바로 알 수 있습니다.
위 스샷에서 보다시피 D 표시가 붙은 경우라면 실시간이 아닌 지연 시세(Market Data Delayed)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를 기준으로 장중에는 내가 보는 정보가 실시간 데이터 정보인지 아닌지를 곧바로 확인 가능합니다.
위 스샷 이미지에서 좌측 하단의 (B)를 보면 일본 소프트뱅크를 일부러 관심종목에 편입한 상태에서 바로 시세 데이터를 구분해 보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임시로 포함해 본 것입니다. 마찬가지로 관심종목 리스트 목록에 보면 종목 숫자명 바로 우측 상단에 D 표시가 주황색으로 표시되어 있는 걸 볼 수 있습니다.
이 표시를 보는 것 만으로 해당 일본 소프트뱅크 종목 시세 정보는 실시간이 아닌 지연 시제로 제공된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물론 일본 주식 시장에 소속된 개별 종목의 시세 정보를 실시간으로 받기 위해서는 유료로 해당 국가에서 제공하는 시세 정보를 받는 방식으로 결제를 해야 사용 가능합니다.
참고로, 우측 하단의 (C)는 국장 종목 중에서 HLB생명과학을 필자가 선택해 본 것인데요. 종목 숫자(067630) 위에 마우스를 올려놓으면 저렇게 HLBLS라는 영문 티커명이 뜨면서 바로 하단에 KRX, Real Time, Market Closed 이렇게 현재 실시간 데이터를 어디서 받아 오고 또 실시간인지 아닌지, 현재 시장이 열린 것인지 아니면 장마감된 상태인지를 바로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 어닝 서프라이즈 주가 상승 종목 미리 확인하는 방법 (트레이딩뷰 활용법)
어닝 서프라이즈 주가 상승 종목 미리 확인하는 방법 (트레이딩뷰 활용법)
미국은 분기별 실적 발표가 예정된 달에는 기업의 실적 발표에 따라 주가가 아주 크게 급등락 하는 등 종목에 따른 희비가 엇갈리는 장세가 한 달여간 지속됩니다. 개별 기업의 주가 상승은 무
thalespef.tistory.com
>> 트레이딩뷰 활용, 주식매매 기법 정교하게 다듬는 주식 공부 방법!
트레이딩뷰 활용, 주식매매 기법 정교하게 다듬는 주식 공부 방법!
많은 주식 투자자들이 수시로 찾는 트레이딩뷰(TradingView) 주식 차트 플랫폼에는 무척 유용한 기능이 많습니다. 그중에서도 특히 필자가 오늘 설명할 내용은 바 리플레이(Bar Replay) 기능을 가지고
moneyway.tistory.com
트레이딩뷰 실시간 종목 스크리닝 방법
현재 이 글을 쓰는 시점(2024년 3월 기준)에서 보면 트레이딩뷰 기능 중 가장 약한 부분이 바로 종목 스크리닝이라 할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보다시피 Stock 2.0이란 메뉴를 통해 종목 조건 검색을 보다 손쉽게 할 수 있도록 기능 개선이 이뤄지긴 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쉬운 점이 꽤 많습니다. 핀비즈 닷컴처럼 조금 세팅을 쉽고 또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잘 구성하면 꽤 유용한 도구로 자리매김할 것이라 생각되긴 합니다.
특히 트레이딩뷰 조건 검색은 국내 상장 주식도 같은 기준을 사용해 스크리닝이 가능하기 때문에, 안정화되는 수준까지 발전한다면 굳이 국내 증권사가 제공하는 HTS를 이용하지 않고도 종목 스크리닝이 가능하다는 면에서 보면 장점은 크다 할 수 있습니다.
위는 1개월에 30% 상승 모멘텀을 유지한 종목을 기준으로 스크리닝을 한 스샷 화면인데요. 그다지 완벽하지는 않습니다. 종목 누수 현상이 제법 많이 보여서, 아직은 뭐 이렇다 할 설정법을 소개하거나 하지는 않겠지만, 관심 있는 분들은 한번 증권사 HTS와 트레이딩뷰에서 제공하는 종목 스크리닝 메뉴를 한번 사용해 보거나 하는 것도 좋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선 트레이딩뷰 실시간 시세, 지연 시세 구분하는 간단한 방법을 알아봤습니다. 원래는 RS 라인부터 알람 설정 활용 방법 등 좀 더 디테일한 부분과 활용 사례까지 자세히 좀 다루려 하다가 대략 좀 급하게 글을 마무리한 감이 없진 않습니다.
그 이유는 틈틈이 글을 쓰다 보니 아무래도 RS LINE 설정 관련 해서는 단일 포스팅으로 별도로 따로 다루는 것이 좀 더 좋을 것 같아서입니다. 아무튼, 핵심은 조금 불편하고 답답해 보이더라도 자꾸 익숙해지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 직장인을 위한 추세추종 주식 공부법(오닐+다바스+마크 통합법)
직장인을 위한 추세추종 주식 공부법(오닐+다바스+마크 통합법)
주말에도 주식 투자 공부에 여념이 없는 직장인 분들이 많은 것 같습니다. 댓글과 이메일로 결이 비슷한 질문을 많이 보내옵니다. 직장을 다니면서 주식 투자를 하는 분들이라면 실시간 매매를
moneyway.tistory.com
*Disclaimer : 주슬공에서 제공하는 모든 정보는 투자 교육 및 참고용 자료로만 활용할 수 있습니다. 모든 투자 판단과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자 ⓒ Thales (https://thalespef.tistory.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식투자 슬기로운 주식공부, <주슬공>, <주슬금>, <tradinghow.co.kr>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탈레스가 만드는 모든 콘텐츠는 엉덩이가 아닌 카페인으로 채워지고 있습니다. : ) 작은 후원이라 할지라도 이 프로젝트를 지속하고 유지하는 데 큰 힘이 됩니다.